1. Creatinine이란?

크레아티닌(Creatinine)은 근육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입니다.


2. 정상 수치 기준

성별 정상 수치 단위
남성0.7 ~ 1.3mg/dL
여성0.6 ~ 1.1mg/dL

3. 수치별 해석

수치 범위 판단 의심 질환 또는 상태
< 0.5 mg/dL 비정상적 저하 근육량 감소, 영양 결핍
정상 범위 정상 정상 신장 기능
1.4 ~ 2.0 mg/dL 경도 상승 신기능 저하 초기, 탈수
2.1 ~ 5.0 mg/dL 중등도 상승 만성신부전, 신우신염
> 5.0 mg/dL 고도 상승 심각한 신부전, 투석 필요 가능

4.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 원인

  • 만성 신장 질환: 신장 사구체 기능 저하
  • 급성 신부전: 쇼크, 약물, 감염 등
  • 근육 손상: 격렬한 운동, 횡문근융해증
  • 약물: NSAIDs, 항생제, 조영제 등
  • 탈수: 일시적 상승 유발 가능

5. eGFR과의 관계

eGFR (추정 사구체 여과율)은 크레아티닌 수치를 기반으로 연령, 성별, 인종 등을 고려해 신장 기능을 더 정확히 추정합니다.

eGFR 수치 신장 기능 단계 해석
> 901단계정상 또는 고기능
60 ~ 892단계경도 감소
30 ~ 593단계중등도 감소
15 ~ 294단계중증 감소
< 155단계신부전(투석 필요)

6. 모니터링과 관리 방법

  • 수분 섭취 충분히 유지
  • 염분과 단백질 과잉 섭취 제한
  • 신장 독성 약물 복용 시 정기 모니터링 필수
  • 당뇨, 고혈압 등 신장에 영향을 주는 질환 관리

7. 결론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기본 지표로, eGFR과 함께 해석할 때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일시적 상승은 탈수나 약물에 의한 경우도 있으며, 지속적인 고수치일 경우 반드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신장 기능을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