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뇨(Hematuria)는 소변에서 혈액이 검출되는 상태를 말하며, 신장, 방광, 요관, 요도 등 비뇨기계 이상을 시사하는 주요 증상입니다.

혈뇨는 눈에 보일 정도로 소변이 붉거나 갈색으로 보이는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으로만 확인되는 현미경적 혈뇨로 나뉘며, 각각의 원인과 대응 방법이 다릅니다.

---

1. 혈뇨의 분류

분류 기준 설명
육안적 혈뇨 눈으로 보일 정도로 붉은색 소변 소변 전체가 붉거나 갈색, 실혈 위험 동반 가능
현미경적 혈뇨 고배율 시 적혈구 ≥ 3개/HPF 소변은 맑지만 검사상 혈뇨 검출

※ 여성의 경우 월경 중 또는 직후 소변은 위양성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소변검사(Dipstick)상 혈뇨 수치 해석

Dipstick 결과 혈뇨 정도 의심 질환
Negative (-) 정상 정상 또는 외부 오염 가능성
Trace 미량 혈뇨 운동 후, 탈수, 기능성 혈뇨
1+ 경도 방광염, 요도염
2+ 중등도 신우신염, 신장염, 결석
3+ 이상 고도 사구체신염, 신장암, 외상, 출혈
---

3. 현미경적 혈뇨 기준 (적혈구 수)

적혈구 수 (HPF당) 해석 가능한 원인
0~2 정상 의미 없음
3~10 경미한 혈뇨 기능성, 경미한 감염, 결석 초기
11~50 중등도 혈뇨 방광염, 사구체 손상 가능성
50 이상 고도 혈뇨 심한 신장염, 출혈, 종양
---

4. 혈뇨의 원인 분류

범주 대표 질환
비뇨기계 감염 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
결석 신장결석, 요관결석
신장 질환 사구체신염, IgA 신병증, 신장염
종양 방광암, 신장암, 전립선암
외상/기타 카테터 삽입, 격렬한 운동, 항응고제 복용
---

5. 혈뇨 동반 증상으로 감별 진단

동반 증상 의심 질환
배뇨 시 통증 + 혈뇨 방광염, 요도염
옆구리 통증 + 혈뇨 신장결석, 신우신염
무통성 혈뇨 방광암, 신장암 가능성 ↑
부종 + 혈뇨 + 고혈압 사구체신염, 신증후군
---

6. 혈뇨 발견 시 체크리스트

  • ✅ 최근 운동, 외상, 성관계, 월경 여부 확인
  • ✅ 발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 여부
  • ✅ 복용 중인 항응고제, 진통제 확인
  • ✅ 단백뇨, 크레아티닌 수치 동시 확인
  • ✅ 필요 시 복부·신장 초음파 또는 CT 검사
---

결론

혈뇨는 단순한 증상이 아닌, 신장 또는 비뇨기계 질환의 첫 번째 경고일 수 있습니다. 특히 증상이 없는 무통성 혈뇨가 지속된다면 방광암 등 심각한 질환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기적인 소변 검사로 현미경적 혈뇨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신장내과 또는 비뇨기과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