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V (Mean Corpuscular Volume)는 혈액검사(CBC)에서 측정되는 항목 중 하나로, 적혈구 한 개의 평균 크기(용적)를 나타냅니다. 이 수치를 통해 빈혈의 유형을 분류하고, 원인을 감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MCV는 단독으로 보기보다, Hb(헤모글로빈), Hct(헤마토크릿), MCH, RDW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정확하며, 특히 빈혈이 의심될 때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

1. MCV 정상 범위

연령/대상 정상 MCV (fL)
성인 80 ~ 100 fL
신생아 95 ~ 125 fL
소아 70 ~ 85 fL (나이에 따라 상이)

※ fL(femtoliter)은 10-15 리터로, 적혈구 1개의 평균 용적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

2. MCV 수치별 해석표

MCV 수치 빈혈 분류 의심 가능한 원인
< 80 fL 소구성 빈혈 (Microcytic) - 철결핍성 빈혈
- 지중해빈혈(Thalassemia)
- 만성질환 빈혈
- 납 중독
80 ~ 100 fL 정구성 빈혈 (Normocytic) - 출혈성 빈혈
- 만성질환 빈혈
- 신장질환
- 조혈기능 저하(재생불량성 빈혈)
> 100 fL 대구성 빈혈 (Macrocytic) - 비타민 B12 결핍
- 엽산 결핍
- 간질환
- 알코올성 빈혈
- 골수 이상증후군
---

3. MCV 수치에 따른 진단 포인트

  • 소구성 빈혈(MCV↓) 👉 혈색소(Hb) 합성에 필요한 철분 부족이 가장 흔한 원인 👉 철, 페리틴(ferritin) 수치 함께 확인 필요
  • 정구성 빈혈(MCV 정상) 👉 출혈, 급성 질환, 조혈기능 이상 의심 👉 망상적혈구(reticulocyte), EPO 검사 고려
  • 대구성 빈혈(MCV↑) 👉 DNA 합성 장애로 적혈구 성장 이상 👉 B12, 엽산, 간기능 검사 필수
---

4. MCV와 함께 해석해야 할 혈액 지표

검사 항목 의미 해석 포인트
Hb (헤모글로빈) 적혈구의 산소 운반 능력 낮으면 빈혈 진단 가능
MCH, MCHC 적혈구 내 Hb 양과 농도 저색소/고색소 빈혈 감별
RDW 적혈구 크기 변동성 높을수록 다양한 크기 → 철결핍 의심
Reticulocyte 젊은 적혈구 비율 조혈 기능 활성 여부 평가
---

5. MCV 수치 변화에 따른 대응

| 상황 | 조치 방법 | |------|-----------| | MCV ↓ | 철분 보충, 철결핍 원인 확인 (위장관 출혈, 생리과다 등) | | MCV ↑ | B12, 엽산 보충 여부 확인, 음주력 체크 | | MCV 정상 + 빈혈 | 만성질환, 신장 기능 저하, 골수 문제 가능성 고려 | | RDW ↑ 동반 | 혼합성 빈혈(철결핍 + B12결핍) 의심 가능 | ---

결론

MCV는 적혈구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빈혈의 유형을 구분하는 핵심 검사 항목입니다. MCV 수치가 정상에서 벗어났다고 무조건 질환이 있다는 뜻은 아니지만, 빈혈이 동반된 경우 원인 감별의 첫걸음이 됩니다.

MCV 수치는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만성질환, 골수질환 등 다양한 문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다른 혈액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혈액 수치를 체크하고, 빈혈 증상(피로감, 어지럼증, 창백함 등)이 있다면 전문의 상담을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