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C (White Blood Cell count, 백혈구 수치)는 감염, 염증, 스트레스, 면역 반응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혈액 수치입니다. 건강검진 결과나 병원 진료에서 WBC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단순히 '감기인가?'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원인은 훨씬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BC 수치 상승의 원인과 정확한 해석법, 그리고 같이 봐야 할 주요 지표를 표로 정리해 설명해드립니다.
---1. WBC 수치의 정상 범위
대상 | 정상 수치 (cells/μL) |
---|---|
성인 | 4,000 ~ 10,000 |
소아 | 6,000 ~ 15,000 |
신생아 | 9,000 ~ 30,000 |
일반적으로 10,000 cells/μL 초과 시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으로 간주합니다.
---2. WBC 상승의 주요 원인
원인 분류 | 세부 원인 |
---|---|
감염 | 세균성 폐렴, 방광염, 맹장염 등 |
염증 |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장염 등 |
스트레스 | 운동 후, 외상, 수술, 고열 |
약물 | 스테로이드, 리튬, 에피네프린 |
종양성 질환 | 백혈병, 림프종, 골수 증식성 질환 |
기타 | 흡연, 임신 후기, 알레르기 반응 |
3. 백혈구 종류별 상승 시 의심 질환
세포 유형 | 주로 증가하는 경우 |
---|---|
호중구 (Neutrophils) | 세균 감염, 염증, 급성 스트레스 |
림프구 (Lymphocytes) | 바이러스 감염, 백혈병 |
단핵구 (Monocytes) | 결핵, 만성 감염, 자가면역 |
호산구 (Eosinophils) | 기생충 감염, 알레르기, 천식 |
호염기구 (Basophils) | 만성 백혈병, 알레르기 |
4. WBC 상승 시 함께 확인해야 할 검사 항목
- CRP (C-reactive protein): 급성 염증 반응 지표
- ESR: 만성 염증 또는 자가면역 의심 시 활용
- Procalcitonin (PCT): 세균성 감염에 특이적
- 말초혈액도말 검사: 백혈병 세포(blast) 여부 확인
5. 해석 예시 요약
WBC | CRP | PCT | 의심 질환 |
---|---|---|---|
↑ | ↑ | ↑ | 세균성 감염 (패혈증 포함) |
↑ | ↑ | 정상 | 바이러스 감염 또는 자가면역질환 |
↑ | 정상 | 정상 | 스트레스, 운동, 초기 감염 |
↑ | 정상 | ↑ | 조기 세균 감염 의심 (추적 검사 필요) |
결론
백혈구 수치(WBC)가 높다고 해서 모두 감염은 아닙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백혈구의 종류별 변화와 함께 CRP, ESR, PCT 등의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건강검진 결과에서 WBC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증상과 함께 다른 수치들도 점검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