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EA란?
CEA (Carcinoembryonic Antigen)는 태아기 장(腸) 조직에서 주로 생성되는 당단백으로, 성인에게서는 미량 존재하지만, 대장암 등 암 발생 시 수치가 상승합니다.
대표적인 종양표지자 중 하나로, 암 조기 진단보다는 치료 반응과 재발 감시에 활용됩니다.
2. 정상 수치 기준
구분 | 정상 수치 | 단위 |
---|---|---|
비흡연자 | 0 ~ 3.0 | ng/mL |
흡연자 | 0 ~ 5.0 | ng/mL |
3. 임상적 활용
- 대장암 치료 전후 모니터링
- 폐암, 위암, 유방암 등 일부 암 감시
- 재발 여부 확인 (수술 후 수치 상승 여부)
- 암의 치료 반응 평가와 장기 추적 관찰
4. 수치 상승 시 의심 질환
CEA 수치 | 판단 | 의심 질환 |
---|---|---|
3.1 ~ 5.0 ng/mL (비흡연자 기준) | 경도 상승 | 흡연, 간질환, 경증 염증 |
5.1 ~ 10.0 ng/mL | 중등도 상승 | 양성종양, 초기 대장암 |
> 10.0 ng/mL | 고도 상승 | 대장암, 폐암, 위암, 유방암 전이 등 |
5. 비암성 상승 원인
- 흡연: 만성 흡연자는 CEA 수치가 자연스럽게 높음
- 간 질환: 간경변, 만성 간염 등
- 염증성 질환: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췌장염, 폐렴, 갑상선염 등
6. 한계와 주의사항
- 암의 진단용으로는 단독 사용 불가
- 조기암에서는 정상일 수 있으며, 고도 상승이 있어도 비암성 질환일 가능성 존재
- 영상검사(CT, MRI), 대장내시경 등과 병행 필요
- 수치 변화 경향성(증가 또는 감소 추세)이 더 중요
7. 결론
CEA 수치는 대장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의 경과 관찰에 사용되는 종양표지자이며, 흡연 여부, 간 질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수치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보다는 치료 반응 및 재발 여부 판단에 더욱 유용하므로, 정기적인 추적검사와 영상 검진을 함께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치가 높다고 무조건 암은 아니며, 반복 검사와 전문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