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β-hCG란?
β-hCG (베타 인간 융모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은 수정란 착상 후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임신 여부를 판별하는 대표적인 혈액 또는 소변 검사 지표입니다.
또한 일부 암(기형종, 융모암, 고환암 등)에서도 β-hCG 수치가 상승할 수 있어 종양표지자로도 활용됩니다.
2. 정상 수치 기준 및 임신 단계별 수치
임신 주수 | 평균 β-hCG 수치 | 단위 (mIU/mL) |
---|---|---|
비임신 | 0 ~ 5 | mIU/mL |
3주 | 5 ~ 50 | mIU/mL |
4주 | 10 ~ 750 | mIU/mL |
5주 | 200 ~ 7,000 | mIU/mL |
6주 | 1,000 ~ 50,000 | mIU/mL |
7~12주 | 15,000 ~ 200,000 | mIU/mL |
3. 임상적 활용
- 임신 유무 확인: 혈액 또는 소변 검사를 통해 확인
- 자궁외임신 여부 판단: 수치 증가 패턴 분석
- 유산 가능성 평가: 수치 감소 또는 정체 시 의심
- 종양표지자 역할: 고환암, 융모암, 기형종 등에서 사용
4. 수치 상승 시 의심 질환
수치 범위 | 의심되는 상태 |
---|---|
6 ~ 100 mIU/mL | 임신 초기, 자궁외임신 가능 |
100 ~ 2,000 mIU/mL | 정상 임신 진행 초기 단계 |
> 200,000 mIU/mL | 다태임신, 포상기태, 융모암 가능성 |
5. 임신 외 수치 상승 원인
- 포상기태(임신성 융모질환): 비정상 임신 상태
- 융모암(Choriocarcinoma): 악성 종양, 빠르게 전이 가능
- 고환암(비정상적인 생식세포종양): 남성에서 β-hCG 상승
- 기형종, 난소 종양: 여성에서도 관련 상승 가능
- 위암, 간암 등 일부 비뇨생식기 외 암: 드물게 상승
6. 해석 시 주의사항
- 단일 수치만으로 임신 또는 질환 확정 불가
- 수치의 증감 추세가 더 중요 (48시간 간격 관찰 권장)
- 자궁외임신, 유산, 유산 후에도 잔존 수치가 일정 기간 남을 수 있음
- 임신 테스트 키트 양성이라도 정밀 혈액검사 필요
7. 결론
β-hCG 수치는 임신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이며, 일부 생식세포 종양의 종양표지자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단일 수치보다는 수치 변화 추이와 증상, 영상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하며,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비정상적인 상승이 있을 경우에는 산부인과 또는 종양내과 전문의의 상담을 권장합니다.
0 댓글